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8

뮤지컬 스타일 정리 뮤지컬은 종합 무대 예술이다. 여러 장르의 예술 형태들이 한데 어우러져 있다는 점에서 '종합' 예술이고, 가상의 공간이 아니라 무대라는 현실 공간에서 이루어진 다는 점에서 '무대' 예술이다. 뮤지컬의 종합적 속성은 음악과 춤의 본격적 사용을 통해 강조된다. 그래서 뮤지컬의 주인공들은 기쁘거나 슬플 때와 같이 감정적으로 고조되는 순간에 노래와 춤을 추고, 어떤 경우네는 일상적이고 이성적인 표현을 할 때에도 노래와 춤을 춘다. 뮤지컬은 종합예술과 무대예술이라는 점에서 오페라와 비슷하지만, 몇 가지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음악, 즉 소리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점이다. 오페라에서는 아무리 연기와 가사 전달 등 다른 요소들이 중요하다고 해도 결국 오페라를 가장 오페라답게 하는 것은 오케.. 2023. 8. 24.
나의 행복한 결혼 4화 넷플릭스에 공개된 애니매이션 을 소설 형식으로 리뷰합니다. 명문가의 딸로 태어났지만 계모와 여동생에게 학대받으며 살아왔던 미요가 남편인 키요카를 만나 어떻게 새로운 인생을 펼쳐가는지, 미요의 1인칭 시점으로 만나보겠습니다. 이렇게 행복해도 되는 것일까? 이런 생각이 문득 치밀어 올랐다. 그러자 불안의 기운이 스멀스멀 온몸을 감쌌다. 하지만 눈을 감았다 뜨면, 이곳은 쿠도가의 저택이고, 난 아늑한 내 방에 누워 있었다. 나리와 외출하고 돌아온 그날 밤, 꿈을 꾸었다. 현재의 내가, 어머니와 아버지를 바라보고 있었다. 두 사람은 어린 시절 내가 보았던 모습처럼 젊었다. "기다려 주세요, 신이치님! 그게 아니에요!" 어머니의 목소리는 절박했다. "뭐가 아니란 말인가, 스미?" 아버지의 차가운 목소리에 어머니는.. 2023. 8. 22.
뮤지컬 대본 쓰기 뮤지컬 대본은 시작부터 종결까지 차례대로 써지는 일이 거의 없다. 뮤지컬은 일반적으로 각 부분별로 구성하여 서로 짜 맞추어지도록 써지며, 작업 내내 작가는 주제곡이나 대사의 간결함, 솔로곡, 듀엣곡, 무용곡, 대위 등 일반 정극과 구별되는 뮤지컬의 여러 요소들을 계속 염두에 두고 작업을 진행한다. 국내 뮤지컬 작업은 대본과 가사를 한 사람이 맡아서 하는 경우가 많지만, 브로드웨이나 웨스트 앤드 뮤지컬의 경우 작가와 작사가의 역할을 분리하는 경우가 많다. 어쨌든 두 경우 모두 염두해야 할 부분은 '1막 시작 부분, 2막 시작 부분, 클라이맥스, 피날레'다. 그 외에도 캐릭터가 처음 소개 되는 부분이나, 서브플롯 또한 생각해야 할 부분이다. 어떤 글도 마찬가지겠지만, 뮤지컬 대본 또한 전략적인 글쓰기를 해야.. 2023. 8. 21.
서사극, 관객을 깨우는 서사극(Epic theater)의 창시자는 브레히트다. 브레이트는 시인이자, 소설가, 극작가이면서 동시에 연출가였다. 브레히트는 처음 표현주의 세례를 받으면서 연극 활동을 시작했다. 표현주의 연극은 1920년대 독일 연극의 새로운 흐름을 형성했지만, 곧 단명했다. 인간의 본능과 무의식을 연극적으로 표현하겠다는 표현주의 취지가 전 세계적인 공감을 얻는 데에는 실패했기 때문이다. 이후 브레히트는 표현주의가 아닌 자신만의 방법으로 자신의 정치적 이상과 작가 의식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는데, 그것이 '서사극'이다. 브레히트는 자신이 정립한 이러한 연극 사조를 훗날 '변증법적 연극'이라는 이름으로 변경하였으며, '교훈극'으로 규정하기도 했다. 1. 아르스토텔레스적 연극 브레히트는 기존의 연극을 '아리스토.. 2023. 8. 18.
낯선 연극, 부조리극 부조리극(absurd drama)이라는 명칭은 연극 평론가 마틴 에슬린이 명명했다. 그는 그와 동시에 활동하는 극작가들의 작품 성향을 연구하고, 이른바 반리얼리즘 계열의 작품을 일컬어 부조리극이라고 칭했다. 여기서 '부조리'란 조리에 맞지 않는다는 뜻이다. '조리'란 합리와 비슷한 말로, '말이나 글 또는 일이나 행동에 앞뒤가 들어맞고 체계가 서는 갈피'를 뜻한다. 한편, '합리'란 '이론이나 이치에 합당함'을 가리킨다. 이 세상의 어떤 현상이나 상황은, 그에 알맞은 이유나 원칙이 있게 마련이며,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결과에 해당하는 지금의 상황이 벌어진다고 할 ㅅ 있다. 리얼리즘 연극은 이러한 원리, 원칙, 규칙, 상궤, 상식 등을 활용하여, 우리 사회와 현실에 내재하는 문제점 혹은 모순과 부조리를 파.. 2023. 8. 17.